본문 바로가기
🚘 국내여행

가장 오래된 비구니 승가대학이 있는 공주 동학사

by 블토끼 2023. 6. 26.

충청남도 공주시에 위치한 비구니 사찰 동학사에 다녀왔습니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비구니 승가대학이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계룡산 국립공원내에는 동학사를 비롯하여 갑사, 신원사 등 유서 깊은 사찰이 있습니다. 계룡산 탐방코스로도 정비되어 있으며, 지난 5월 4일부터 문화재 관람료 무료로 입장료를 받고 있지 않습니다.

 

 

계룡산 탐방코스가 궁금하신가요❓

 

코스별난이도 < 계룡산국립공원 < 국립공원탐방 <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공단

www.knps.or.kr

 

동학사 일주문

동학사 일주문
동학사 일주문

 

동학사 불교문화원

동학사 불교문화원

 

 

대웅전

 

동학사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명칭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
한자 公州 東鶴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및 腹藏遺物
영어 Wooden Seated Sakyamuni Buddha Triad and Excavated Relics of Donghaksa Temple, Gongju
지정문화재 보물 제1719호
시대 1606년 / 1883년

 

(출처: 현지안내문)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양옆에 약사여래와 아미타여래가 앉아 있는 모습의 삼세불입니다.

 

삼세불은 모든 시간과 공간에 존재하는 부처를 뜻하며, 석가여래는 현재의 부처이면서 이 세계의 부처이고, 약사여래는 동방의 부처이면서 과거의 부처이며, 아미타여래는 서방의 부처이면서 미래의 부처입니다.

 

2010년 불상의 금박 작업을 하던 중 불상의 내력을 적은 발원문과 고려말, 조선 초에 만들어진 사경, 경전류 등 복장유물이 발견됩니다. 기록에 따르면, 이 불상들은 17세기 전반에 승려 조각가 각민의 주도로 1605년부터 1606년에 걸쳐 계룡산 청림사 대웅전에 봉안하기 위해 제작되었다고 합니다.

 

동학사로 옮겨온 시기는 1883년 무렵으로 추정됩니다.

 

삼세불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청림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삼층석탑

동학사 삼층석탑

 

명칭 동학사삼층석탑
한자 東鶴寺三層石塔
지정문화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8호

 

(출처: 현지안내문)

 

계룡산 남매탑이 있는 청량사에 있던 것을 옮겨온 것으로 전설에는 신라 성덕왕때 동학사를 지을 때 함께 만들어졌다고 하나, 탑의 모습으로 볼 때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원래 탑의 1층과 2층 부분만 남아 있었는데 2008년 기단부와 3층을 복원해 현재의 모습이 되었으며, 탑의 1층 한 면에서는 자물쇠 모양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대웅전 연꽃

동학사 대웅전 연꽃
동학사 대웅전 연꽃

 

 

삼성각

 

동학사 삼성각

 

명칭 동학사 삼성각
한자 東鶴寺三聖閣
영어 Samseonggak Hall of Donghaksa Temple
지정문화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7호

 

(출처: 현지안내문)

 

우리나라 전통 신앙과 불교가 합쳐지면서 만들어진 공간으로, 삼성(산신・칠성・독성)을 모시는 곳입니다.

 

칠성은 북두칠성으로 별들의 우두머리이며 인간의 복과 수명을 맡은 신으로 여래와 보살과 함께 있다고 합니다. 산신은 재물을 담당하는 토속신으로 호랑이와 함께 있는 산신령의 모습입니다. 독성은 사람들에게 복을 내리는 존재로 지팡이, 염주, 불로초를 들고 있거나 어린 동자가 곁에 있다고 합니다.

 

삼성각 내부 모습

동학사 삼성각

 

 

동학삼사(숙모전・삼은각・동계사)

 

(출처: 현지 안내문)

 

동학삼사는 계룡산 동학사의 초혼각지에 세워진 숙모전, 삼은각, 동계사를 말합니다.

 

신라의 충신 박제상, 고려말의 충신 정몽주, 이색, 길재, 그리고 조선의 단종과 사육신 등 신라, 고려, 조선 3왕조의 충절 인물의 위패를 모신 곳입니다.

 

숙모전은 신분과 관계없이 국왕, 재상, 관료, 학자, 서민, 노비 등 충절인 351위를 기리면서 왕을 모신 '전'이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유교와 불교가 어울려 제사지내는 전통을 지닌 곳이라고 합니다.

 

인재문

동학사 인재문

 

숙모전

동학사 숙모전

 

명칭 숙모전
한자 肅慕殿
영어 Sukmojeon Shrine
지정문화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7호

 

(출처: 현지안내문)

 

초혼각이 있던 자리에 조선시대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긴 단종을 모신 사우입니다.

 

숙모전 앞쪽 동서로 세워져 있는 동무・서무에는 당시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여 절의를 지킨 사육신과 생육신, 육종영(왕실 6인 종친), 그리고 세조가 직접 이름을 내린 280여명을 포함하여 충절인 351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고 있습니다.

 

세조 2년 김시습이 초혼단을 설치하여 사육신의 초혼례를 지냈고, 세조 3년에는 세조가 이곳을 들러 혼령들을 위로하고 유교와 불교가 함께 제사를 지내도록 건물을 짓게하여 초혼각이라고 부르게 합니다. 

 

조선후기 불타 없어졌으나 고종 6년 3칸 건물을 세우고 고종 20년에 건물을 증축하여 전각의 모습을 갖추고, 고종에 의해 '숙모전'으로 격상됩니다.

 

삼은각

동학사 삼은각

 

명칭 삼은각
한자 三隱閣
영어 Sameungak Shrine
지정문화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9호

 

(출처: 현지안내문)

 

고려 말의 충신 정몽주, 이색, 길재의 위패(죽은 사람의 이름을 적은 나무패)를 모신 사당입니다. 

 

삼은각의 역사는 1394년 길재가 고려 태조의 원당(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던 법당)인 동학사를 찾아와 고려 왕에게 제사를 지내는 한편, 단을 쌓아 스승인 정목주에게 제사를 올리면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1399년 문신이자 천문학자인 류방택이 단을 정비한 후 정몽주와 이색의 초혼제(죽은 사람의 혼령을 위로하는 제사)를 지냈고, 세조때 류방택, 이숭인, 나계종의 위패를 추가로 모십니다.

 

1728년 반란으로 인해 동학사가 불타면서 삼은각도 함께 불탄 후, 1916년 정몽주, 이색, 길재만을 모신 삼은각 1칸을 재건합니다. 1924년 류방택, 이숭인, 나계종을 다시 모시면서, 현재 삼은각은 6인의 위패를 모시고 있습니다.

 

동계사

동학사 동계사

 

명칭 동계사
한자 東鷄祠
영어 Donggyesa Shrine

 

(출처: 현지안내문) 

 

신라시대 충신 박제상의 충혼을 모시는 곳입니다. 박제상은 신라 19대 눌지왕 2년에 일본에 인질로 잡혀간 왕의 아우 미사흔을 구출하고 일본에서 순절합니다.

 

고려 태조 19년 류차달이 박제상의 충절을 기려 이곳에 초혼 제사를 시작한 후 왕명으로 동계사를 지었다고 합니다.

 

 

승가대학

 

동학사 승가대학

 

(출처: 동학사 홈페이지)

 

금강산 유점사에 있던 율봉스님의 제자 만화보선스님이 1864년 제자들과 동학사로 옮겨와 대웅전, 승당 등을 중창하고 강원을 개설한 것이 동학사 강원의 전신이라고 합니다.

 

1956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최초의 현대식 비구니 전문 강원을 개설하고, 7년후인 1963년 제1회 대교과 졸업생을 배출합니다. 

 

2011년 동학사 승가대학은 조계종단이 시행한 교육제도를 도입하여 대학의 면모를 구비하는데 노력합니다.

 

현재 1학년은 치문, 선학개론, 세계불교의 이해, 계율, 2학년은 서장, 대승불교개론, 세계불교사, 중관사상, 3학년은 금강경, 선수행론, 대승불교 실천론, 불교와 동서철학, 선종사, 4학년은 화엄경을 수학하고 있다고 합니다.

 

 

관음암

 

동학사 관음암

 

같은 절인 것 같은데 끝에 암자를 의미하는 '암(庵)'이 붙은 절이 있는데요. 큰 절(寺)에 부속되어 있는 작은 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최근에는 부속된 절이 아닌 규모가 작은 절에도 '암'을 붙여 부르기도 합니다.

 

이곳은 동학사라는 큰 절이 있으니 관음암, 길상암, 미타암은 동학사에 부속된 암자라고 볼 수 있는데요. 암자의 경우는 사찰에서 사람을 파견하여 관리한다고 합니다.

 

향아정

동학사 관음암 향아정
동학사 관음암 향아정
동학사 관음암 향아정

 

 

길상암

 

동학사 길상암

 

 

미타암

 

동학사 미타암
동학사 미타암

 

 

주차장

 

동학사 주차장

 

유료주차장과 음식점앞 주차장이 있습니다.

 

동학사로 가다보면 먼저 유료주차장이 나오는데요. 주차요금은 선불 4,000원이고 장애인의 경우 50% 할인됩니다. 단점은 동학사까지 좀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유료주차장을 지나가면 음식점들이 즐비해있는데요. 음식점 앞에도 주차를 할 수는 있습니다. 다만 음식점 이용 고객용이라고 하니 주차하고 식사후 동학사를 가시면 됩니다.

 

저희팀은 아침에 일찍 도착해 음식점 앞에 주차해놓고 동학사를 갔다온 다음에 식사를 했습니다. 이번에 들른 식당은 너무 맛이 없어서 소개하지는 않겠습니다. 😭

 

음식점 거리를 지나 동학사 안으로는 주차금지입니다.

 

동학사 가는 길 (교통편)
동학사 홈페이지

 

💙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비구니스님의 절 보탑사, 초평저수지 & 농다리

충북 진천 명소 중에서 보탑사, 초평저수지, 농다리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3층 목탑으로 유명하며 아름다운 정원을 가진 보탑사를 소개드리면서 탑의 정의와 와불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

travel-tokki.tistory.com

 

부처의 법이 머무르는 속리산 법주사

법주사는 충북 보은 속리산에 위치해 있는 절입니다. 부처님 오신 날은 3일 연휴이고 입장료도 무료가 되었으니 법주사를 한번 방문해 보시는건 어떨까요❓ 법주사에는 금동미륵대불과 팔상전

travel-tokki.tistory.com

 

부처님 오신 날🌸 어느 절에 갈까❓ 세계문화유산과 관람료 무료 😄

올해 부처님 오신 날은 5/27(토) - 5/29(월)까지 3일 연휴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 5월 2일 국무회의에서 부처님 오신 날, 성탄절에 대체공휴일을 적용하는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의 개정

travel-tokki.tistory.com

 

 

댓글